최근 미국 리튬 생산기업 **리튬 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 NASDAQ:LAC)**가
10월 들어 굵직한 공시를 냈습니다.
내용은 미국 에너지부(DoE)와의 대출 조건 개정,
그리고 워런트(주식매수권) 발행 + 시장형 유상증자(ATM) 완료 소식이에요.
주가는 단기 급등 이후 유증 공시로 흔들렸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악재라기보다
**“정부 파트너십 강화 + 재무 안정 확보”**로 해석하는 게 더 정확합니다.

🏭 1. 리튬 아메리카스는 어떤 회사인가?
리튬 아메리카스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리튬을 직접 채굴하고 정제하는 기업이에요.
본사는 캐나다 밴쿠버에 있으며,
미국과 아르헨티나에 대형 광산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Thacker Pass 프로젝트 (미국 네바다주)
- 미국 내 최대 리튬 광산 개발 사업으로,
국가 핵심 광물 프로젝트로 지정됨 - **GM(제너럴 모터스)**와 협력 중
-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최대 23억 달러 대출 승인
🇦🇷 Cauchari-Olaroz 프로젝트 (아르헨티나)
- ‘리튬 트라이앵글’ 지역의 대표 광산
- 세계 최대 리튬 매장지 중 하나
- 현재 시범 생산 단계 진행 중
즉, 리튬 아메리카스는 단순한 광산주가 아니라
**“미국 정부의 전기차 공급망 자립 전략의 핵심 파트너”**입니다.
그래서 이 기업의 공시는 정책 방향과 연결된 산업 이슈로 해석돼요.

📑 2. 이번 공시, 왜 중요한가?
이번 리튬 아메리카스의 공시는
1️⃣ 에너지부 대출 조건 개정 및 워런트(신주인수권) 발행
2️⃣ 시장형 유상증자(ATM) 완료
이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즉, 단순한 자금 조달이 아니라
**“정부가 실질적으로 참여하며 프로젝트 리스크를 줄인 조치”**라는 점이 핵심이에요.

🏦 (1) 대출 조건 개정 + 워런트 발행
리튬 아메리카스는 대출 조건을 재협상하면서
미 에너지부가 회사 지분의 약 5%를 워런트 형태로 취득할 권리를 부여했습니다.
즉, 정부가 단순한 채권자가 아니라
기업의 성장 성과에 직접 참여하는 구조로 전환된 거예요.
- 회사 입장: 대출 조건 완화 → 현금흐름 개선
- 정부 입장: 향후 성공 시 지분 이익 참여
공시 직후 시장 반응은 일시적으로 부정적이었습니다.
워런트 발행은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으로 이어지니까요.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프로젝트 완공을 위한 안정 자금 확보”,
즉 정부의 신뢰 확대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2) ATM 시장형 유상증자 완료
리튬 아메리카스는 올해 초부터
ATM(At The Market)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했습니다.
이건 시장에 조금씩 주식을 팔면서
필요할 때마다 자금을 확보하는 점진적 조달 방식이에요.
이번에 프로그램이 마무리되면서
**총 2,692만 주를 발행해 약 1억 달러(약 1,400억 원)**을 조달했습니다.
즉, 이미 현금 확보를 마친 상태입니다.
이제 회사는 공장 건설 및 생산라인 확장에 필요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했고,
재무 구조 역시 훨씬 안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3. 투자자 관점에서 보면
이번 공시는 요약하자면
**“정부의 신뢰를 얻는 대신, 주식 수를 늘린 선택”**이에요.
| ✅ 긍정 | 정부(DoE) 공식 파트너십 체결 → 프로젝트 신뢰도 상승 | 장기 호재 |
| ✅ 긍정 | 대출 조건 완화 → 현금흐름 개선 | 단기 안정 |
| ⚠️ 부정 | 워런트·신주 발행 → 지분 희석 | 단기 악재 |
| ⚠️ 부정 | 공시 직후 단기 매도세 확산 | 변동성 확대 |
즉,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흔들리겠지만
프로젝트 본질은 더 견고해졌습니다.
미국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다는 건
**“실패하면 정부도 타격을 입는다”**는 의미니까요.
📉 4. 차트 흐름 정리
📊리튬 아메리카스 주봉 차트

2달러 바닥 → 거래량 폭발 → 11달러 상승 후 8달러 눌림 조정 구간
주봉 차트로 보면,
2024년 여름 2달러 초반에서 하락이 멈춘 뒤
8월부터 거래량이 폭발하며 추세 전환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2달러에서 11달러까지 약 5배 상승했지만
지금은 8달러선에서 눌림 조정을 받고 있어요.
5주선과 20주선이 수렴하며 상승 후 숨 고르기 구간입니다.
이 지점은 세력 매집형 조정으로 보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리튬 아메리카스 월봉 차트

3년 하락 마감 + 거래량 폭증 → 장기 추세 전환 초입
월봉으로 보면,
2021년 고점 41달러 이후 약 3년간 이어진 하락이
2024년 2달러 부근에서 마무리됐습니다.
2025년 들어 거래량이 폭발하며
첫 장대 양봉이 등장했죠 —
이는 장기 하락 종료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5달러대가 장기 지지선,
8~9달러 돌파 시 12~15달러 회복 여력 충분.
즉, 월봉 기준으로는 이제
‘대세 하락 종료 + 추세 전환 초입’에 해당합니다.
💡 차트 요약
| 주봉 | 상승 초입의 눌림목 조정 | 8달러 지지 시 단기 반등 가능 |
| 월봉 | 3년 하락 마무리, 거래량 폭증 | 장기 바닥 확인, 12달러 회복 여력 |
| 공통점 | 공포 매도 구간, 매집형 조정 | 5~8달러 구간은 분할 접근 유효 |

🔮 앞으로의 회복 포인트
1️⃣ 정부 대출금 실제 집행 시작
2️⃣ Thacker Pass 공장 착공 가시화
3️⃣ 유증 이후 거래량 안정 및 박스권 형성
이 세 가지 조건이 맞물리면
시장 심리가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 오늘의 포인트
리튬 아메리카스의 유증 공시는
단순한 악재가 아니라 정부 신뢰의 표시입니다.
단기 조정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리튬 생산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포 매도 대신 지지선 확인 + 분할 접근 전략으로 대응하세요.
※ 본문에 사용된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콘셉트 이미지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폐배터리 관련주 실전 정리|리사이클 수혜주부터 실적 주의점까지
🟢2차전지관련ㅣ폐배터리는 단순히 쓰레기 처리 문제가 아닙니다.리튬·니켈·코발트 같은 희귀 자원을 되살리는 리사이클 산업이자,2차전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대의 자원 보안 키
okayhong.tistory.com
2차전지 관련주 실전 정리|ESS·전고체·폐배터리까지 한눈에
2차전지는 단일 산업이 아닙니다.전기차 배터리부터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고체 배터리, 폐배터리 재활용까지…이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복합 테마이자,2025년 핵심 투자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
okayhong.tistory.com
'📊관련주 총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켄달 제너도 반한 K-뷰티|에이피알 메디큐브, 뉴욕 팝업스토어·타임스퀘어 대흥행 (33) | 2025.11.13 |
|---|---|
| 조선판 흔든 HJ중공업, 미 해군이 극찬한 이유 ? (54) | 2025.10.12 |
| 한국카본 vs 동성화인텍|LNG 운반선 기자재 대장주 비교편 (30) | 2025.10.09 |
| POSCO홀딩스·현대제철 실전 분석|조선 산업의 철을 만드는 두 축 (2) | 2025.10.09 |
| 세진중공업 실전 분석편|조선업 뒷단의 안정형 기자재주 (33)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