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실전 경험 공유)
📌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얼마 전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던 주택과 부속토지를 매도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직접 경험하게 됐습니다.
처음엔 낯설고 복잡하게만 느껴졌지만, 하나하나 정리해보니
꼭 알아야 할 포인트는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
✔ 공동명의는 따로따로, 지분대로 신고!
공동명의는 한 명이 대표로 신고하는 것이 아니라
📍 **각자 지분 비율에 따라 따로 신고**해야 합니다.
저희는 2인 공동명의(각 50%)였기 때문에 (예시 금액)
- 취득가액 2억 → 각자 1억씩 입력
- 양도가액 3억 → 각자 1.5억씩 입력
이런 식으로 신고했어요.
지분이 30:70이라면?
그 비율대로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을 나누면 됩니다.
❗ 지분 전체를 한 명 이름으로 신고하면,
세금이 두 배 이상 계산될 수 있어요. 반드시 나눠서 입력하세요!
---
✔ 토지와 주택은 한 건으로 함께 신고 가능
“토지랑 주택을 같이 팔았는데, 신고는 따로 해야 하나요?”
이 부분도 헷갈렸는데요.
같은 필지에 있는 주택과 부속토지는
📍 **‘주택 및 부속토지 일괄 양도’** 항목으로 **함께 신고**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양도소득세 간편신고'에서
[부동산 종류] 항목을 선택하면 이 메뉴가 나옵니다.
📝 홈택스에서 자동으로 주택과 토지를 나눠 계산해주기 때문에
신고는 한 번에 편하게 끝났어요.
단, 등기상 토지와 주택이 별개의 필지이거나
공제 적용 조건이 다른 경우에는 **별도 신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간편신고 절차 요약
홈택스 > 양도소득세 > 간편 신고 메뉴를 이용하면
필요한 항목만 순서대로 입력하고, 자동 계산됩니다.
📍 입력 항목 예시:
- 지분 비율
- 취득일, 양도일
- 취득가액, 양도가액
- 필요경비 (중개수수료 등)
-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여부 등
전자신고로 바로 납부까지 완료되니 정말 편했어요!
---
✔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공동명의자 각각 따로 신고
✅ 취득/양도가액은 지분대로 나눠 입력
✅ ‘주택 및 부속토지 일괄 양도’ 항목 활용
✅ 필요경비 빠뜨리지 않기 (수수료, 세금 등)
---
📎 시리즈 다시 보기
2025.04.06 - [세금-연금-절세팁] -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실전 경험 공유)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실전 경험 공유)
📌 공동명의 주택+토지 양도, 양도소득세 이렇게 신고했어요 얼마 전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던 주택과 부속토지를 매도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직접 경험하게 됐습니다.
okayhong.tistory.com
2025.04.06 - [세금-연금-절세팁] - 공동명의 장기보유특별공제, 양도소득세 절세 이렇게 합니다! (보유기간·실거주 기준 총정리)
공동명의 장기보유특별공제, 양도소득세 절세 이렇게 합니다! (보유기간·실거주 기준 총정리)
✔ 장기보유특별공제란?부동산을 오래 보유할수록 양도차익에 대해 일부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입니다.정부가 단기 투기를 억제하고 장기 보유를 장려하기 위해 만든 혜택이죠.📍 핵심 요약:보
okayhong.tistory.com
2025.04.06 - [세금-연금-절세팁]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제대로 알고 양도소득세 피하자!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제대로 알고 양도소득세 피하자!
집 한 채만 갖고 있는데, 팔면 세금 내야 하냐고요?조건만 맞으면 양도차익이 아무리 커도 ‘세금 0원’이게 바로 1세대 1주택 비과세 제도입니다.하지만 “1세대 1주택”이라는 말이 은근 까다
okayhong.tistory.com
✍ 다음 편 예고
2편에서는
📍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 공동명의일 때 공제 조건은 어떤지
실제 계산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볼 예정이에요.
👉 구독 또는 즐겨찾기 해두시면 2편도 놓치지 않으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