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투자 & 브리핑

“휴머노이드 ETF 또 겹치기 3종 비교|삼성·KB·한화 뭐가 다를까?”

쌈지로그 2025. 4. 1. 13:07

양자컴 이어 휴머노이드…또 겹치기 ETF?

요즘 ETF 시장, 왜 이렇게 겹칠까?

최근 ETF 시장에서 흥미로운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양자컴퓨팅 ETF가 4곳 운용사에서 동시에 출시되더니, 이번엔 ‘휴머노이드 로봇’ ETF가 쏟아질 예정입니다.
이번엔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이 동시에 참전했는데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뭘 보고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아질 듯합니다.


🧠 휴머노이드 ETF, 왜 뜨거운가?

  • 로봇이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시대, 생각보다 빨리 오고 있습니다.
    테슬라,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제조 현장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도입 중이죠.
  • 골드만삭스는 2035년까지 이 산업이 약 5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고,
    모건스탠리는 향후 10년 내 8경 7930조 원 규모라는 놀라운 수치를 내놨습니다.

산업의 성장성을 감지한 자산운용사들이 ETF 상품으로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는 셈입니다.


🧾 운용사별 전략, 이렇게 다르다

운용사전략 요약
삼성자산운용 테슬라, 엔비디아 등 미국 빅테크 중심 구성 예정
KB자산운용 삼성과 유사하게 미국 기술주 비중 강화 전략
한화자산운용 액티브 ETF / 유럽·일본 기업 포함 / 국내 기업(LG이노텍 등)도 고려

비슷해 보여도, 운용 전략과 편입 종목은 꽤 다릅니다.
특히 한화는 액티브 ETF라는 점에서 수동형과 차별화 포인트가 생깁니다.


📌 최근 ETF 겹치기, 이렇게 벌어졌다

사실 이런 흐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바로 얼마 전인 2025년 3월 11일, 양자컴퓨팅 ETF 4개가 같은 날 동시에 상장되었거든요.

이 ETF들도 모두 ‘양자컴퓨팅’이라는 같은 테마를 내세웠지만, 성과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 최근 겹치기 ETF 정리표

테마출시 시점운용사특징
양자컴퓨팅 2025.03.11 (상장 완료) 신한자산운용 디웨이브 퀀텀 비중 높음, 수익률 1위
    삼성자산운용 미국 기술주 기반
    KB자산운용 미국 중심 구성
    미래에셋자산운용 전체적으로 비슷한 구성
휴머노이드 로봇 (4월 예상, 심사 중) 삼성자산운용 테슬라·엔비디아 등 미국 빅테크 비중 ↑
    KB자산운용 미국 기술주 중심
    한화자산운용 액티브 ETF / 유럽·일본·국내 기업 포함

이 중에서도 신한자산운용의 ETF는 상장 직후 단연 돋보였습니다.

  • 상품명: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
  • 상장 이후 약 21.58% 수익률 기록
  • 개인 순매수 금액도 51억 원 이상
  • 전략: 디웨이브 퀀텀을 20% 가까이 담은 것이 성공 요인

반면, 나머지 3곳은 개인 순매수도 적고 성과도 평범했죠.


🎯 투자자는 어떤 기준으로 봐야 하나?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앞으로는 ETF 이름보다 종목 구성, 비중, 운용 능력이 훨씬 중요해질 것이다.”

✅ 테마 ETF는 겹치기 쉽습니다.
✅ 하지만 종목 구성과 운용사 전략은 다릅니다.
ETF 이름만 보고 투자하는 건 위험합니다.


✍️ 마무리 생각

ETF 시장이 커지면서 비슷한 테마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성패를 가르는 핵심은 ‘어떻게 담았느냐’**입니다.

이번 휴머노이드 ETF들도 출시 시점은 비슷할 예정이지만,
결과는 또 다르게 흘러갈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ETF를 고르시겠습니까?